연산자 재정의란? 코틀린에서는 사용자가 연산자들을 재정의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. 연산자 재정의는 개발자가 원하는 특정 연산을 수행하도록 연산자를 다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 +는 더하기를 하는 연산이지만, 재정의를 통해 +를 빼기 연산을 하도록 재정의할 수 있다. 연산자 재정의는 함수를 재정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. 그 이유는 무엇일까? +가 plus()함수, -가 minus() 등의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. 예를 들어 +라는 연산을 수행하는 plus함수를 사용한 코드이다. fun main() { val a: Int = 10 val b: Int = 5 val result1: Int = a + b val result2: Int = a.plus(b) println("result1 :..
전개 연산자 전개 연산자는 배열 데이터를 단순 나열할 때 사용한다. *A 의 의미 : A 배열의 데이터를 나열한다. *기호는 흔히 곱하기 연산자이다. 그런데 Kotlin에서 * 기호는 곱하기 이외에 전개 연산자(Spread Operator)로도 사용된다. 전개 연산자는 배열값을 나열할 때 사용한다. 아래 예시 코드를 보자. import java.util.Arrays.asList fun main(args: Array) { val array = arrayOf(10, 20, 30) val list = asList(1, 2, array[0], array[1], array[2], 100, 200) list.forEach{print(it)} } 위에서 배열의 크기는 3이므로 3개의 데이터를 직접 추가하였다. 하지만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CloudComputing
- 코틀린
- XCode
- 함수형프로그래밍
- ios
- watchos
- Auto Layout
- 스위프트
- databinding
- java
- apple
- 안드로이드
- 알고리즘
- 함수형
- Rxjava
- SwiftUI
- 오토레이아웃
- Kotlin
- C++
- Notissu
- Swift
- Elliotable
- android
- 상속
- Apple Watch
- 컬렉션
- retrofit
- 애플워치
- Reactive programming
- 아이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