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W3R9/btqw796WMNX/tjQrAT3ECacUPSAdVWAvWK/img.png)
이번 포스트에서는 Lottie 사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. 그동안 우리가 만들어온 어플리케이션들이 뭔가 밋밋하고 생동감 넘치지 않은 느낌이 들었던 경험이 한 번쯤은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. 그러한 밋밋함을 채워줄 무언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 AirBnB에서 개발한 Lottie Animation 라이브러리 입니다. Lottie란? After Effect에서 제작한 Motion Graphic을 Android에서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것으로써 OOM(OUT OF MEMORY)에 대해서도 신경을 많이 쓴 라이브러리 입니다. 이전에 Facebook에서 KeyFrame이라는 라이브러리를 개발했었는데 이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Lottie가 되겠습니다. Lottie는 실제 A..
안드로이드를 처음 배울 때 우리는 레이아웃을 XML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. 그리고 activity class에서 view를 binding하여 기능을 구현하곤 하였다. 아래처럼 말이다.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{ private Button button; @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 setContentView(R.layout.activity_main); button = findViewById(R.id.button); } } 보통 위와 같이 findViewById 메소드를 사용하여 구현하였을 것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Elliotable
- Apple Watch
- Kotlin
- C++
- 아이폰
- databinding
- Rxjava
- 코틀린
- watchos
- SwiftUI
- 애플워치
- android
- XCode
- 컬렉션
- 스위프트
- apple
- CloudComputing
- Auto Layout
- 함수형
- ios
- 안드로이드
- 알고리즘
- 오토레이아웃
- java
- retrofit
- Swift
- Reactive programming
- 상속
- Notissu
- 함수형프로그래밍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