람다식(람다 함수)은 익명 함수(Anonymous Function)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.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아니더라도 람다식(람다함수)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람다 함수가 고차함수의 매개변수(Parameter)나 반화값(Return Value)으로 사용됩니다. 고차 함수가 무엇인지는 조금 후에 알아보도록 하고 코틀린에서 람다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. 람다식 (람다 함수) fun 함수이름(매개변수) { 함수내용 } 코틀린에서 함수를 작성하는 방식은 위와 같습니다. 람다 함수는 fun이라는 키워드와 함수 이름을 생략하고 선언합니다. { 매개 변수 -> 함수 내용 } 람다 함수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바탕으로 정의합니다. 1. 람다 함수는 항상 { }로 감싸서 표현해야 한다. ..